본문 바로가기
생활꿀팁

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, 혜택, 신청기간을 알아봐요!

by 은혁맘 2023. 1. 6.
반응형

윤석열 정부의 청년 공약 중 하나였던 청년도약계좌가 드디어 구체적인 윤곽을 드러냈습니다. 출시 일정부터 운영예산까지 세부적인 계획이 발표가 됐는데요. 어떤 내용이 담겨있는지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부터 혜택까지 자세히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
 

 

1. 청년도약계좌란?

 

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월 납임금의 일정 비율을 정부가 기여하여 월 70만원을 5년 납입할 경우 만기 시 5,000만원에 달하는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 프로그램입니다. 윤석열 정부가 청년들을 위해 내세웠던 공약 중 하나인데요. 청년도약계좌를 운영하기 위한 예산으로 3,678억원을 확정하였고, 2023년 6월 출시될 예정입니다.

 

반응형

 

2.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및 혜택

 

① 가입 조건 : 근로 및 사업 소득이 있는 만 19~34세의 청년들 중 개인 소득이 6,000만원 이하, 가구소득이 중위 180%이하(소득하위 80%)인 청년들을 대상으로 합니다. 아래는 2023년 기준 중위소득을 정리한 표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가구 수 중위소득 중위 180%
1인 가구 207.8만원 374.0만원
2인 가구 345.6만원 622.1만원
3인 가구 443.5만원 798.3만원
4인 가구 540.1만원 972.2만원
5인 가구 633.1만원 1139.6만원
6인 가구 722.8만원 1301.0만원

[출처: e-나라지표 ]

 

② 가입 내용 및 혜택 : 월 40~ 70만원을 5년 만기로 납입해야 하고, 월 납입금의 최대 6%를 정부에서 기여받을 수 있습니다. 정부 기여금은 개인 소득에 따라서 차등 지원될 예정입니다. 정부 기여금 외에 은행 금리 이자를 추가로 받을 수 있는데요. 금리 수준은 아직 정해진 바가 없으나 청년희망적금과 비슷하게 5~6%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. 발생한 이자소득에 대해서는 세금을 면제해주는 비과세 혜택이 적용됩니다. 다만 의무가입기간인 5년을 다 채우지 못하고 중도에 해지할 경우 감면세액이 추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.

 

③ 가입 기간 : 2023년 6월에 출시하여 2023년 말까지 판매할 예정입니다.

 

참고로 문재인 정부 시절에 출시됐던 청년희망적금은 추가 가입 없이 올해 2~3월까지 장려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종료될 예정이라고 합니다. 정부 예측에 따르면 청년 인구 1,034명 중 약 30%에 달하는 306만 명이 청년도약계좌 혜택을 받을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는데요.

 

납입기간이 5년으로 결코 짧지 않은 기간이라 만기까지 유지하는게 관건인 것 같습니다. 청년희망적금 사례를 살펴보면 만기가 2년이었음에도 출시 7개월 만에 무려 30만 명이 중도 해지를 했다고 합니다. 납입기간이 부담될 수 있지만 또 한편으로는 정부 기여금, 은행 이자, 이자 비과세까지 혜택이 워낙 좋기 때문에 최대한 열린 마음으로 살펴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.

 

그동안 부동산 활황기를 거치면서 투자에 대한 관심이 커진 반면 근로소득의 가치가 떨어진 것 같은데요. 최근 달라진 경제 상황을 보면 묵묵히 일하고, 저축하는 습관이야말로 부를 이루는데 꼭 필요한 핵심인 것 같습니다. 아무쪼록 꼼꼼히 확인해보시고, 자신의 상황을 고려해서 좋은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.

반응형

댓글